'옳은 것이 힘을 갖는 세상'이 아니라 '힘 있는 것이 옳은 세상'

 

그러나 부조리한 세상보다 부조리한 것은 생존을 위해

그 세상의 부품이 되어 끊임없이 달려야 한다는 것

세상도 사람도 질주합니다

때로는 숨 막히는 공포로, 때로는 우스꽝스러운 풍자로 무대 위에 형상화되어

분노를 폭발시키며 질주하는 무용수들의 

움직임과 그 에너지를 통해서 관객들에게 힐링이 되길 희망하는 작품입니다. 

  

  □ 공연일시 : 12.18(목) 오후 4시

  □ 공연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서울 대학로 소재) 

  □ 관람대상 : 중·고·대학생 및 24세 이하

                   ※ 보호자 및 인솔자의 경우 1인 동반 가능 

  □ 신청기간 : 12.15(월)까지

  □ 참고사항 : 공연관람 후 간단한 후기 제출 

 

신청하기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계보학이란  특수한 징후들을 만들어 내는 힘들에 대한 연구를 말한다고 합니다.

바로 계보학적 탐구 작품도 이와 비슷한 메시지를 던져주고 있는데요!

  

"세계는 동일한 것의 영원한 반복이다"

 "세계는 영원한 혼돈과 생성의 흐름 속에 놓여 있다"

 

세상에는 영원한 것들이 있을까요?

내가 죽게 된다면 어떤 세상으로 갈까?라고 생각해본 적 있으신가요?

사람도 어느새 생을 마감하게 되고, 식물이나 동물들도 마찬가지일거에요.

 

영원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죽고 다시 태어나고 하는 모든 것들이

연결고리처럼 이어지고 흘러간다는 뜻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공연일시 : 12.15(월) 오후 4시

  □ 공연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서울 대학로 소재) 

  □ 관람대상 : 중·고·대학생 및 24세 이하

                   ※ 보호자 및 인솔자의 경우 1인 동반 가능 

  □ 신청기간 : 12.11(목)까지

  □ 참고사항 : 공연관람 후 간단한 후기 제출 

 

신청하기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전래 동화 하면 가장 먼저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

 

선녀와 나무꾼, 금도끼 은도끼 , 심청 등등...

옛날, 옛날에~ 로 시작하는.. 할머니가 들려주는 듯한 전래 동화!

그 익숙한 이야기를 한 편의 이야기가 있는 무용으로 승화한 작품이 있는데요^^

창작산실 우수작품제작지원 선정작 그 첫번째! <심청입니다.

 

창극, 발레, 오페라 등에서 많이 제작되어서 익숙한 고대 소설인 <심청> 2014 창작산실 우수작품제작지원을 통해서 안무가 이경옥 특유의 스타일로 재해석했다고 합니다.

 

 

  □ 공연일시 : 12.12(금) 오후 4시

  □ 공연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서울 대학로 소재) 

  □ 관람대상 : 중·고·대학생 및 24세 이하

                   ※ 보호자 및 인솔자의 경우 1인 동반 가능 

  □ 신청기간 : 12.9(화)까지

  □ 참고사항 : 공연관람 후 간단한 후기 제출 

 

신청하기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피아니스트 서혜경의 선물 나눔음악회] 




지난 11월 28일 한겨울 초입, 서혜경 피아니스트가 따뜻한 위로와 격려를 담은 피아노 독주회를 가졌다.  고 박영숙(초대 한국여성재단 이사장)님을 추모하는 곡으로 연주회가 시작되었다. 기부자님과 기업, 파트너단체 활동가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정적인 연주로 한 곡이 끝날때마다 아낌없는 박수가 쏟아졌다.


 연주회사진을 연속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슬라이드)

0123456789101112


피아니스트 서혜경은 한국여성재단 홍보대사로 10년 이상 남다른 나눔을 펼쳐왔다. 여성재단이 해마다 진행하는 대중모금캠페인 100인 기부릴레이 발대식에서 피아노 연주로 나눔을 독려하고 연말행사에는 한해를 마감하는 이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격려의 연주를 들려주곤 했다. 최근 소외계층의 음악영재를 후원하는서혜경예술복지회를 설립하는 등 사회공헌활동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청중을 몰입시키는 피아니스트, 재능나눔으로 연주 무대에 서다

놀라운 힘과 역동적인 연주로 널리 알려진 서혜경은 피아니스트로서 국제 음악계에 이름을 알린 첫 한국인이다. 20세인 1980년 유럽에서 가장 권위 있는 피아노콩쿠르 중의 하나인 이탈리아 부조니 국제피아노경연대회에서 동양인 최초로 최고상을 받았으며, 1988년 미국 카네기홀이 그녀를 올해의 3대 피아니스트로 선정하기도 했다. 고전과 낭만을 아우르는 피아노 명작들의 빼어난 해석가로 정평이 나 있는 그녀는 2010년 세계 여성 연주자로서는 최초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콘체르토 전집을 녹음하였다.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