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재단 창립15주년기념행사 <With U>가 지난 1218, 이화여자대학교 LG컨벤션홀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윤후정 한국여성재단 고문, 김영란 전 대법관, 강지원 전 한국여성재단 이사. 이미경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김광웅 명지전문대 총장, 최규복 유한킴벌리 대표이사, 신창재 교보생명보험주식회사 회장, 그리고 여성재단 파트너단체와 기부자가 함께했다. 이번 창립기념식은 6년간 몸담았던 한국여성재단을 떠나는 조형 이사장과 새로이 임기를 시작하는 이혜경이사장을 맞는 이취임식을 개최했다.


 

조형이사장은 여성재단 창립 후 15년은 재단의 기틀을 확립한 시기로 여성인권실현과 남녀평등 보장, 돌봄과 상생의 사회를 만들어가는 최초의 민간공익재단으로 성장한 시기였다. 함께 해준 많은 기업과 파트너단체, 기부자들의 관심과 성원에 감사한다고 이임사를 했다.

 

이혜경 신임이사장은 두 이사장의 열정과 헌신, 투명성, 혁신성, 공공성, 공개성의 원칙을 지키며 공익재단의 위상에 맞게 지켜나가겠다. 더 많은 여성과 남성이 여성재단의 비전을 공유하고 도움을 주고받는 파트너로서의 나눔과 보살핌의 사회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취임사를 전했다.

 




기념행사에는 <팽려영의 아시아음악여행>이 한국과 아시아 여러나라의 전통악기를 연주하며 참석자들을 맞이해주었고 박기남 사무총장은 여성재단 15년의 활동을 모금사업과 지원사업을 활동 사진과 함께 소개해 격려의 박수를 받았다.


조형이사장은 올 연말 임기를 마치고 여성재단이 사무국을 맡아 운영하는 <미래포럼> 이사장직 임기를 계속 이어가며 <여성 30% 클럽>의 활성화를 위해 활동할 계획이다.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와 서울시복지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는 이혜경 신임이사장은 2015년 1월1일부터 제3대 이사장 임기를 시작한다.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지난 1212, 한국여성재단 <박영숙홀>에는 전국 각지에서 여성운동 활동가, 연구자 30여명이 모였다. 추운 겨울 흩날리는 눈발을 헤치고 모인 이들은 올해 10월에 열렸던 <2014여성회의>의 열기를 이어나갔다. 여성회의의 참가자들이 운동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그리고 새로운 여성운동으로의 모색을 위한 방법으로 입을 모아 그 필요를 꼽은 것은 바로 여성주의 교육이다. 이에 한국여성재단은 <여성주의 교육을 고민한다-지향.기획.조건>을 주제로 교육기획에 관심을 가진 활동가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을 풀어내기로 하였다.


이날 강사로 선 전희경 여성주의활동가는 여성주의 교육 기획에서 고려해볼 수 있는 이슈와 관점들을 낱낱이 풀어 놓았다. 무엇을 여성주의 교육으로 볼 수 있을지, 여성주의가 어렵다는 대중에게 우리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인지 등 현장에서 활동가들이 고민하였던 내용들을 우리가 어떤 관점과 가치로 교육을 구성해 나갈 수 있을지를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


여성주의가 무엇인지, 여성주의 교육은 어떻게 해나가야 하는지, 이 정답이 없는 물음에 현장에서 막연한 고민을 가지고 있던 참가자들은 이 교육 강의를 통해 여성주의 교육을 기획할 때 어떤 지점에서 토론과 논쟁이 필요한가를 점검할 수 있었다.


한국여성재단은 여성회의를 비롯하여 여성운동과 여성운동가들의 성장을 위한 교육과 모임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추운 계절 한국여성재단의 생일에 온기를 더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한국여성재단이 새천년을 준비하며 첫 발을 내딛은 지 15년이 되었습니다.

이 시간은 재단의 정체성이 확립된 시기로 여성인권, 양성평등, 돌봄과 상생의 사회를 만들어 가는 

여성들을 지원하는 국내 유일의 민간공익재단으로 성장했습니다.

 

그리고 같은 꿈을 꾸는 많은 친구들을 만났습니다

기부자님들. 파트너 기업 총수와 임직원분들, 파트너단체 활동가분들... 

오늘, 그동안의 성과를 함께 나누고 앞으로 일보 나아갈 준비를 하는 

여성재단에 아낌없는 응원의 박수를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참석하신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평화가 깃들기를 기원합니다.

 

2014.12.18.

한국여성재단 이사장 조형


                 참석신청하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사직대제?  

 

우리의 선조들은 예로부터 나라를 세우면 먼저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이와 함께 땅과 곡식의 신에게 백성이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풍요를 기원했습니다. 사직대제는 땅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드리는 국가적인 제사로, 사(社)는 땅의 신, 직(稷)은 곡식의 신을 의미합니다. 조선시대 오례 중 길례로서 사직대제를 지낼 때는 가무음곡이 곁들어 지는 가운데 악공이 음악을 연주하고 일무원(佾舞員)이 춤을 추는 악무(樂舞)가 펼쳐졌다고 합니다.

 

 국립국악원 정악단의 사직대제 복원 연주회에 초대합니다.  


1. 공연명 : 사직대제
2. 장   소 :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
3. 날   짜 : 2014년 12월 12일 (금요일)
4. 시   간 : 오후 8시
5. 티켓료 : 무료초대 (좌석권은 공연당일 공연장 티켓데스크에서 배부)
6. 문의 : 02-336-6463

 

    신청하기 

 

 공연팀 및 프로그램 소개  


정악단은 - 개원과 함께 창단되어 우리 교유의 궁중음악과 풍류음악, 정가 등을 전승하고 있습니다.

 

정악단은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종묘제례악을 비롯하여 궁중연례악 등 주로 조선시대 궁중에서 연주된 음악들을 복원하여 무대화함으로, 궁중 문화 (악. 가, 무를 아우르는 궁중연향의 모든 것)를 국립국악원의 새로운 브랜드 작품으로 창조해내고 있다.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혹시, 쿠쉬나메 라는 시를 알고 계신가요?

쿠쉬나메(Kush Nama)는 페르시아의 서사시로 1108년과 1111년 사이에  

쓰여진 신화 역사의 일부라고 합니다.

 

"쿠쉬나메를 통해 전해지는 천 년전 페르시아왕자와 신라 공주의 사랑 이야기"

 

 김선미무용단의 <()> 은 영산재의 큰 틀 속에서 천 년전, 그 시간에 일어났던 

신화 속의 역사 혹은 역사 속의 신화로 접근하여 무대화하였다고 합니다.

 

 무려 천 년전의 이야기를 무용으로 담아냈다니 고대와 현대의 환상적인 조화가 

기대되는 작품입니다.

  

  □ 공연일시 : 12.21(일) 오후 3시

  □ 공연장소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서울 대학로 소재) 

  □ 관람대상 : 중·고·대학생 및 24세 이하

                   ※ 보호자 및 인솔자의 경우 1인 동반 가능 

  □ 신청기간 : 12.18(목)까지

  □ 참고사항 : 공연관람 후 간단한 후기 제출 

 

신청하기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