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안산] 우리동네방과후 마을센터+ 일동주민들 


이제 동네에서 사는 게 만만해요




경기도 안산시 일동에는 우리동네방과후라는 마을센터가 있다. 지난 10월23일, 늦은 저녁 만만클럽모금캠페인을 위해 만난 선생님들과 지역주민들. 마을의 안전을 꼼꼼히 살펴볼 눈을 만들기 위해 모였다. 먼저 CPTED(환경개선을 통한 범죄예방)의 원리를 배우고 직접 동네를 돌기로 했다. 아이들이 매일 이동하는 익숙한 그길을 따라 안전도를 체크했다.

 

잘 몰랐는데골목이 많이 환해졌어요전에는 골목이 어두워 밤길이 무서웠는데이 정도면 가슴 졸이지 않아도 되겠어요언제 이렇게 바뀐거죠?

 

놀이터가 동네 한 가운데 있어 주변 집들이 감시할 수 있는 건 좋은데나무가 무성해 잘 안보이고 놀이터가 어둡네요나무가 무성한 게 무조건 좋은 건 아니네요.

 

아까 본 583번지 ○○빌거긴 정말 모범답안인데요가스배관 처리방범창 설치건물사이 공간도 초록 철망으로 차단하고집 뒤 골목도 불을 켜 놓고, 1층 입구 주차장엔 센서조명과 감시카메라까지그 집도 물론 안전하겠지만주위에 사는 분들도 자신들의 집을 한번 쯤 돌아볼 것 같아요우리 집도 다시 살펴봐야겠어요.

 

놀이터 앞 공터를 주차장으로 사용할 계획이면 주차장으로 정비해야지공터로 방치하고 사용하는 건 위험한 것 같아요그 안쪽이 청소년들의 공공연한 흡연구역이 되고 있어요구청에 연락해서 담장과 구석의 쓰레기를 정비하라고 민원 넣어야겠어요주차장이 생기면 들고나는 차때문에 아이들이 위험하지 않을까해서 주차장 설치를 반대했는데무조건 반대가 아니라 합리적인 협조도 필요한 것 같네요.


활동 후 소감을 나누다 보니 동네와 주민들의 특징, 최근 동네 이슈 등 이야기들이 계속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다음주에는 아이들과 함께 낮에 동네를 다시 한 번 돌아보며 아이들이 느끼는 동네의 안전을 들어보기로 했다. 



폭력없는 사회,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만만클럽 회원님께 우리집과 우리 동네의 안전도를 체크할 수 있는 모니터링수첩을 드립니다.


만만클럽 모금캠페인 기부신청: 02-336-6463 (만만클럽 담당자)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부산 연제구] 부산여성회+연제두레마당 엄마들

 

태권브이 주먹보다 엄마들의 눈이 더 세다 !

 



한국여성재단 2014 만만클럽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올해는 주민들이 환경개선을 통한 범죄예방(CPTED) 지표를 들고 동네 안전을 살펴보는 <꼼꼼히 살펴보는 우리동네 안전>활동을 전개한다. 강력범죄뿐 아니라, 전반적인 마을 안전까지 살펴보는 활동으로 전국 7개 동네가 참여하고 있다.

 

가장 먼저 활동이 시작된 곳은 부산. 지난 1017일 부산여성회와 연제두레마당 엄마들이 나섰다. 12명의 엄마들이 아이들의 하루동선을 따라 집에서부터 동네 여러 곳의 안전을 점검해 보았다. 활동을 마치고 소감을 나누는 자리는 공포와 불안보다는 희망이 담긴 밝은 웃음소리로 가득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이제 이웃들과 동네 얘기를 좀 많이 해야겠어요



이 동네로 7년 전 이사를 왔어요왠지 건물들이 낡고 막연하게 안전하지 않다는 생각에 이사를 생각할 정도였지요그런데 오늘 막상 동네를 한 바퀴 돌아보니 우리 동네가 이렇게 깨끗하고 잘 관리되고 있어 놀랐어요신축빌라뿐 아니라오래된 개인주택들도 유지관리가 잘 되고 안전을 위한 신경도 많이 쓰고 있네요이사 가지 말아야겠어요.

 

생각보다 안전했어요우리 동네는 방범이 제일 중요한줄 알았는데그보다 골목길 어린이 교통안전이 더 중요하네요.


문제는 동네가 아니라, ‘내 집 앞이네요내 집 앞부터 청소하고 낡은 시설이 없는지 보수하고 골목 가로등을 살피면 동네가 안전해지겠어요.

 

아는 만큼 보인다고오늘 동네를 꼼꼼히 살펴보니 아주 새롭게 보이네요이제 주변 사람들과 동네 이야기 좀 많이 해야겠어요

 

아까 동네를 돌때 사람들이 와서 뭐하는 거냐고 묻더라구요우리 동네가 얼마나 안전한지 조사하고 개선점을 찾는다고 하자 좋은 일이라며 격려해주셨어요동네를 구석구석 꼼꼼히 살펴보는 무서운 아줌마들이 사는 동네라고 소문나도록 이 활동을 계속해야겠어요그러면 나쁜 마음먹은 사람들이 우리 동네에 안 오겠죠



[꼼꼼히 살펴보는 우리동네 안전] 만만클럽 기부하기

농협 1279-01-000772  / 국민 079-25-0041-019 (예금주: 한국여성재단) 


꼼꼼히 살펴보는 우리 동네 안전 활동에 참여하세요!


서울 은평      10월28일, 11월6일(오후7시)

서울 영등포   11월7일(오전 10시)

경기 구리     10월27일(오후4시), 11월3일(오후7시)

경기 안산     10월23일, 11월6일(오후7시)    

대전 중구     10월31일(오후7시)

대구 북구     10월31일(오전11시)

부산 연제구  10월17일(오후7시), 10월27~11월7일(3회)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가을이 물씬 물든 동덕여자대학교 캠퍼스. 자기답게 사는 삶에 대한 고민을 가진 20대 청춘들과 함께 하는 나눔특강이 열리는 날, 이 날 동 대학 대학원 여성학과 손승영 교수가 초대하고 재단 기획홍보위원인 권민 유니타스브랜드 대표의 재능 나눔으로 진행되는 짝퉁으로 살 것인가? 나답게 살 것인가? I’m BRAND’ 특강을 열었다.    


내가 존재했다는 증거를 제시하라


강의실에는 여성과 사회라는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50여명의 학생들이 빼곡하게 앉아 있었다. 지난 주에 끝난 중간고사 잘 봤냐는 질문에 대답보다는 웃기만 한다

강의가 시작되고 ‘2013년에 내가 존재했다는 증거를 제시해 달라는권민 대표의 첫 질문에 뭐지?’하는 표정을 지었으나 다들 곰곰이 생각에 빠지기 시작했다. 이어서 복사본이 아닌 진정한 자기다움이란 무엇인지 나답게 살기란 어떤 것인지에 대한 화두를 던졌다 

 

 

"대다수의 우리는 나의 뜻이 아닌 외부로부터의 포맷(format)된 삶을 되풀이 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요즘은 예전보다 더 이른 나이에 더 많은 횟수의 포맷된 삶을 살아갑니다. 그러다 어느 날 실직 등 모든 것이 훅 사라지고 난 다음에 알게 되죠

내가 아무것도 아니었구나. 난 뭐였지라고. 제가 이 비슷한 기분을 느낀 적이 있는데요, 예전 다니던 회사에서 몇 주간 해외출장을 다녀 온 적이 있습니다. ‘내가 빠지면 일이 안 될 텐데 어쩌지?’라는 걱정에 출장 내내 노심초사했습니다. 출장에서 돌아와 회사에 출근한 그 순간 머리가 멍해졌습니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으며 평소와 한치도 틀리지 않는 그대로 였습니다. 심지어 담당자인 내가 3주나 없었는데도그때 심하게 충격을 받고 나 답게 사는 삶을 고민하게 된 것이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아이덴티티(identity)를 가지고 브랜드를 만드는 일을 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이하 생략)” (권민 대표 강의내용 중)

(format)

원본으로 태어나 복사본으로 포맷되고 내가 존재했다는 이유도 알지 못한 채 작년에 한 일도 기억나지 않는 삶. 그런 삶에 정확하고 단호하게 반대의사를 던지고 존재 자체로 주어진 원본의 아이덴티티를 알아채는 것. 

가끔 그렇게 나에게 비수처럼 던져지는 질문. 이번엔 그 질문으로 이 가을과 겨울을 살며  답을 만들어가길...  나답게’ 사는 휴먼브랜드 던진 화두를 20대 청춘들은 어떻게 받아 들일까궁금해진다.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2014 만만클럽캠페인은 지역주민과 함께 꼼꼼히 살펴보는 우리 동네 안전 <다 같이 돌자, 동네 한바퀴>를 통해 여성과 아동, 폭력없는 세상만들기를 진행합니다.

 

평소 우리 동네가 안전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안전하다는 응답 13.4%에 불과

작년 6, 구리시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38명을 대상을구리지역 어린이 안전 관련 시민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5.7%가 안전하지 않다고 답했고, 잘 모르겠다 40.8%, 안전하다는 응답자가 13.4%에 불과하였습니다. 언론에 연일 보도되는 사건사고와 보이지 않는 공포, 시민들의 안전체감 등 안전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매우 높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꼼꼼히 살펴보는 우리 동네 안전 <다 같이 돌자, 동네 한바퀴>는 주민이 참여하는 동네안전사업을 통해 관심을 가지고 이웃 관계를 회복하는 캠페인입니다. 여성과 아이, 지역 주민 모두가 즐겁게 사는 동네,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우리 동네 안전체크가 시작됩니다.


꼼꼼히 살펴보는 우리 동네 안전

다 같이 돌자, 동네 한 바퀴 !


성폭력, 가정폭력, 기타 안전사고사건으로 동네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다. 과연 우리 동네는 안전하지 않은 걸까? 이웃과 함께 동네를 걷고 안전한 마을만들기에 동네 주민이 뭉친다!


지 역  풀뿌리 여성단체 & 지역단체 주민모임

        기  간  201410~11, 전국 7개 동네별 캠페인 일정        

 동  네 

 참가단체

 일    정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서울여성회

 11월7일

 서울 은평구 갈현동

 은평 마을엔도서관

 10월28일, 11월6일

 경기 구리시 인창동

 구리여성회

 10월27일,11월3일

 경기 안산시 일동

 우리동네방과후 돌봄센터

 10월23일, 11월6일

 부산 연제구 연산동

 부산여성회

 10월17일

 대전 중구 석교/호/옥계동

 대전풀뿌리사람들

 9월19일~20일, 10월31일

 대구 북구 동천동

 대구북구여성회

 10월31일


함께 하는 일 : 저녁시간 주민들이 모여 동네도 돌아보고, 재미있게 이웃과 친해지기

        1.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체크리스트로 우리동네 안전체크* (체크표 첨부)

        2. 모니터링 후 우리동네 안전을 위한 지혜를 모으는 주민 어울림 자리

                                                    * 참가자에게 모니터링 수첩 제공 

                                   

안전한우리동네_CPTED지표.hwp                                                          



        꼼꼼히 살펴보는 우리동네 안전  <다 같이 돌자동네 한바퀴>를 진행하는

      딸들에게 희망을 주는 정기기부자 1만명 회원 <만만클럽> 에

          가입하세요 

홈페이지 방문 www.womenfund.or.kr → 만만클럽 기부하기 클릭

후원계좌 농협_1279-01-000772 / 국민_079-25-0041-019 (예금주: 한국여성재단)

문자기부 0038로 응원메시지와 함께 기부하기(5천원)

문의 02-336-6463 (한국여성재단 기획홍보팀)


우리 동네 한번 걸어볼까요우리 동네 안전도를 체크할 수 있는 수첩을 드립니다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박영숙선생님은 평생 여성운동과 민주화운동, 환경운동을 하시며 더불어 사는 삶을 화두로 실천하셨습니다. 1963년 한국 YWCA연합회 사무총장을 시작으로 70년대엔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사무처장과 기독교 여성운동을, 80년대엔 한국여성단체연합 부회장의 책임을 지셨고 평민당 부총재와 13대 국회의원활동을 하시면서 호주제 철폐와 여성인권문제의 해결에 앞장서셨습니다. 90년대 이후엔 환경운동에 관심을 두시어 ()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와 ()여성환경연대를 창립하셨고, 여성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여성재단과 살림이재단을 만드셨습니다

2013517일 영면하시기까지 죽는 날까지 현역으로 살고 싶다는 말씀을 몸소 실천하시면서 삶의 현장에서 늘 여성활동가들을 사랑하고 지원하셨던 그분의 정신을 기리어 박영숙 살림이상을 제정하였습니다.


서식1_박영숙살림이상_후보자추천서_2014.hwp


서식2_박영숙살림이상_후보자이력서_2014.hwp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