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연제구] 부산여성회+연제두레마당 엄마들

 

태권브이 주먹보다 엄마들의 눈이 더 세다 !

 



한국여성재단 2014 만만클럽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올해는 주민들이 환경개선을 통한 범죄예방(CPTED) 지표를 들고 동네 안전을 살펴보는 <꼼꼼히 살펴보는 우리동네 안전>활동을 전개한다. 강력범죄뿐 아니라, 전반적인 마을 안전까지 살펴보는 활동으로 전국 7개 동네가 참여하고 있다.

 

가장 먼저 활동이 시작된 곳은 부산. 지난 1017일 부산여성회와 연제두레마당 엄마들이 나섰다. 12명의 엄마들이 아이들의 하루동선을 따라 집에서부터 동네 여러 곳의 안전을 점검해 보았다. 활동을 마치고 소감을 나누는 자리는 공포와 불안보다는 희망이 담긴 밝은 웃음소리로 가득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이제 이웃들과 동네 얘기를 좀 많이 해야겠어요



이 동네로 7년 전 이사를 왔어요왠지 건물들이 낡고 막연하게 안전하지 않다는 생각에 이사를 생각할 정도였지요그런데 오늘 막상 동네를 한 바퀴 돌아보니 우리 동네가 이렇게 깨끗하고 잘 관리되고 있어 놀랐어요신축빌라뿐 아니라오래된 개인주택들도 유지관리가 잘 되고 안전을 위한 신경도 많이 쓰고 있네요이사 가지 말아야겠어요.

 

생각보다 안전했어요우리 동네는 방범이 제일 중요한줄 알았는데그보다 골목길 어린이 교통안전이 더 중요하네요.


문제는 동네가 아니라, ‘내 집 앞이네요내 집 앞부터 청소하고 낡은 시설이 없는지 보수하고 골목 가로등을 살피면 동네가 안전해지겠어요.

 

아는 만큼 보인다고오늘 동네를 꼼꼼히 살펴보니 아주 새롭게 보이네요이제 주변 사람들과 동네 이야기 좀 많이 해야겠어요

 

아까 동네를 돌때 사람들이 와서 뭐하는 거냐고 묻더라구요우리 동네가 얼마나 안전한지 조사하고 개선점을 찾는다고 하자 좋은 일이라며 격려해주셨어요동네를 구석구석 꼼꼼히 살펴보는 무서운 아줌마들이 사는 동네라고 소문나도록 이 활동을 계속해야겠어요그러면 나쁜 마음먹은 사람들이 우리 동네에 안 오겠죠



[꼼꼼히 살펴보는 우리동네 안전] 만만클럽 기부하기

농협 1279-01-000772  / 국민 079-25-0041-019 (예금주: 한국여성재단) 


꼼꼼히 살펴보는 우리 동네 안전 활동에 참여하세요!


서울 은평      10월28일, 11월6일(오후7시)

서울 영등포   11월7일(오전 10시)

경기 구리     10월27일(오후4시), 11월3일(오후7시)

경기 안산     10월23일, 11월6일(오후7시)    

대전 중구     10월31일(오후7시)

대구 북구     10월31일(오전11시)

부산 연제구  10월17일(오후7시), 10월27~11월7일(3회)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가을이 물씬 물든 동덕여자대학교 캠퍼스. 자기답게 사는 삶에 대한 고민을 가진 20대 청춘들과 함께 하는 나눔특강이 열리는 날, 이 날 동 대학 대학원 여성학과 손승영 교수가 초대하고 재단 기획홍보위원인 권민 유니타스브랜드 대표의 재능 나눔으로 진행되는 짝퉁으로 살 것인가? 나답게 살 것인가? I’m BRAND’ 특강을 열었다.    


내가 존재했다는 증거를 제시하라


강의실에는 여성과 사회라는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50여명의 학생들이 빼곡하게 앉아 있었다. 지난 주에 끝난 중간고사 잘 봤냐는 질문에 대답보다는 웃기만 한다

강의가 시작되고 ‘2013년에 내가 존재했다는 증거를 제시해 달라는권민 대표의 첫 질문에 뭐지?’하는 표정을 지었으나 다들 곰곰이 생각에 빠지기 시작했다. 이어서 복사본이 아닌 진정한 자기다움이란 무엇인지 나답게 살기란 어떤 것인지에 대한 화두를 던졌다 

 

 

"대다수의 우리는 나의 뜻이 아닌 외부로부터의 포맷(format)된 삶을 되풀이 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요즘은 예전보다 더 이른 나이에 더 많은 횟수의 포맷된 삶을 살아갑니다. 그러다 어느 날 실직 등 모든 것이 훅 사라지고 난 다음에 알게 되죠

내가 아무것도 아니었구나. 난 뭐였지라고. 제가 이 비슷한 기분을 느낀 적이 있는데요, 예전 다니던 회사에서 몇 주간 해외출장을 다녀 온 적이 있습니다. ‘내가 빠지면 일이 안 될 텐데 어쩌지?’라는 걱정에 출장 내내 노심초사했습니다. 출장에서 돌아와 회사에 출근한 그 순간 머리가 멍해졌습니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으며 평소와 한치도 틀리지 않는 그대로 였습니다. 심지어 담당자인 내가 3주나 없었는데도그때 심하게 충격을 받고 나 답게 사는 삶을 고민하게 된 것이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아이덴티티(identity)를 가지고 브랜드를 만드는 일을 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이하 생략)” (권민 대표 강의내용 중)

(format)

원본으로 태어나 복사본으로 포맷되고 내가 존재했다는 이유도 알지 못한 채 작년에 한 일도 기억나지 않는 삶. 그런 삶에 정확하고 단호하게 반대의사를 던지고 존재 자체로 주어진 원본의 아이덴티티를 알아채는 것. 

가끔 그렇게 나에게 비수처럼 던져지는 질문. 이번엔 그 질문으로 이 가을과 겨울을 살며  답을 만들어가길...  나답게’ 사는 휴먼브랜드 던진 화두를 20대 청춘들은 어떻게 받아 들일까궁금해진다.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