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자님이 운영하는 헤어숍에 가면 재단 창립 초기 추억의 신문기사와 사진을 볼 수 있다. 강성자님은 재단과의 인연을 모아 몇권의 파일에 담아 유일무이한 그만의 역사책을 만들어 두었다.

창립 이듬해 2000년, 여성재단은 나눔문화 확산의 일환으로 유산나누기 운동을 전개했다. 유산나눔은 재산이 많은 사람들만이 하는 기부가 아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의 일부를 세상에 남겨두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나눔이다.

혹한의 겨울을 나야 하는 새들을 위해 남겨 두었던 까치밥에 담긴 마음과 같은 것이다. 강성자님도 처음 유산기부를 들었을 때 재산이 많지도 않은 나 같은 사람은 해당이 안되겠구나 생각했다. 하지만 찬찬히 그 취지를 듣고선 내가 세상 떠날 때 가진 것 중 일부를 누군가를 위해 남긴다면 마지막까지 아름다운 생이겠구나 하는 마음으로 망설임없이 유산기부 약정을 했다. 그는 이렇게 한국여성재단 1호 유산기부자가 됐다. 


기부도 그래요, 마음이 뿌듯하고 즐거워요, 이뻐져요

형편이 어려워 중학교도 마치지 못하고 사회에 나와야했던 그는 미용기술을 배웠다. 미용기술은 강성자님에겐 세상 그 어떤 것 보다 소중하다. 그는 오늘날까지 천직으로 여기는 미용 일을 하며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국가공인 미용기능장 자격까지 갖추었다. “미용 일은 도구를 쓰긴 하지만 손으로 하는 거라 예술 분야죠. 유행에도 민감해서 계속 공부를 하지 않으면 안돼요. 저 스스로 손님들에게 누추해 보이지 않으려고 늘 노력해요. 미를 추구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외양만이 아니라 삶(인생)의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하게 돼요. 기부도 그래요. 마음이 뿌듯하고 즐거워요. 이뻐져요.

올해 환갑이 된 강성자님의 아름다운 인생!  

Life Is Beautiful

 

[유산기부 문의] 02-336-6463 담당자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20대 후반, 여성노동연구모임에서 만나 50대가 되기까지 크고 작은 연구를 함께 해 온 사회학자 세명이여성과 일, 일터에서 평등을 찾다≫ 라는 책을 출간했다. 책 출간을 기념해 인세나눔에도 참여했다. 주인공은 바로 상지대학교 강이수 교수, 한림대학교 신경아 교수, 한국여성재단 박기남 사무총장!

 

저자 3인이 책서문에서 밝힌 희망, 

"여성노동을 조금 앞서 연구한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의미있는 선물이자 격려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대학에서 교재로의 사용 뿐만 아니라 취업을 준비하고 있거나 현재 일하고 있는 여성들, 그리고 일하는 여성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많은 남성들이 함께 읽는 책이 되기를 바랍니다."

 

여성재단도  ≪여성과 일, 일터에서 평등을 찾다≫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는 책이 되길 바라며

책장 넘어가는 샤라락 솨~악, 이 소리는 나눔이 퍼져나가는 기분 좋은 소리!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