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칠곡지구 동천동] 대구북구여성회 회원들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느끼고 답을 찾게 되네요!

 

 

가을비가 추적추적, 아니 주룩주룩 내리던 10월의 마지막 날. 대구 북구의 마을도서관.

대구북구여성회도 2014 한국여성재단 만만클럽캠페인에 참가했다.

 

이미 작년부터 초등학생들과 마을안전지도를 만들고, 올해는 주민들과 마을지도를 만들고 있는 터라 한국여성재단의 2014 만만클럽캠페인인 “꼼꼼하게 살펴보는 우리동네 안전조사”에 하게 도전했다.

한편으로는 기대도 컸다. 그간 진행했던 마을안전지도가 뭔가 주관적인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안전조사의 객관적인 지표를 가지고 마을을 점검한다니 그 만큼 기대가 컸다.

 

그런데...이를 어쩌나

가을비로 바깥 활동이 어려워 오늘은 실내에서 조사활동을 위한 교육을 진행했다. 살짝 아쉽다.

아쉬움도 잠시 박지아 선생님의 지표설명과 활동하고 있는 지역의 사례들을 접하며 여기저기서 “아!”하는 깨달음의 탄성이 나온다. 동네 구석구석 무엇을 보아야 하는지, 누구의 눈으로 살펴보아야 하는지, 결국 주민들이 동네에 관심을 갖고 이웃과 함께 동네를 살펴보는 행위자체가 안전한 동네를 만드는 실천이라는... 등의 대화가 오가며 흥미진진한 시간을 보냈다.

 

대구 북구는 학교폭력에 힘들어하던 중학생의 자살사건으로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지역이기도 하고, 아이들이 학교와 학원, 그리고 집으로 이동하는 곳에 유흥가가 있어서 늘 걱정인 지역이다. 그래서 인지 안전에 대한 부모들의 관심이 높은 지역이다. 11월부터 주택가 골목에서, 상가지역에서, 그리고 학교에서 전개될 대구북구여성회의 안전조사 활동을 기대해 본다.

 

 

주민인 우리가 움직이면 만만해진다. 우리동네 안전!  

 

 

폭력없는 사회,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만만클럽 회원님께

우리집과 우리동네 안전도를 체크할 수 있는 모니터링수첩을 드립니다.

만만클럽모금캠페인 기부신청 :02-336-6463 (만만클럽 담당자)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

[대전 석교·옥계·관저동] 안전마을엔 사람이 보물이랍니다.

 

우리동네 안전도 체크하며 사람보물을 발견했어요!

 

겨울이 다가오니 여섯 시만 되어도 밖이 어둑어둑하다. 석교동 주택밀집지역 상가 2층에 있는 알짬 어린이도서관에 들어서니 장난을 치고 있던 개구쟁이 중 한 명이 아는 체를 한다. “누구예요?” “왜 왔어요?” 도서관 이용시간이 지난 저녁시간에 들어선 낯선 사람에게도 관심을 보인다. “밥 먹었니? 너흰 왜 모인 거니?” 라는 질문에 들고 있던 만만클럽캠페인 동네안전도 체크 수첩을 들어 보인다. 동네 안전도 점검을 위한 동네 한 바퀴는 아이들에겐 밤 마실 놀이 인 것이다. 출발 전부터 친구 손을 꼭 잡은 채 한껏 들떠 있었다.

 

그렇게 하나 둘 오실 분들이 얼추 오셨을 때 남대전지구대 소장님과 대원들이 도착하였다. 지구대 소장님은 주민들과 아이들에게 일상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안전 수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신 후 주민들 가까이 있는 친근한 경찰로 늘 그 자리에 있겠단 약속도 잊지 않으신다.

 

 

꼼꼼히 살펴보는 우리동네 안전 <다같이 돌자, 동네한바퀴!> 대전지역 캠페인 마지막 날로서 알짬도서관 주변 주택가 골목의 안전 정도를 살펴 보기로 했다. 아이들은 그간의 경험으로 아주 능숙하게 안전도 체크 수첩을 펼쳐 들고 골목 구석구석을 꼼꼼하게 살핀다. 함께 한 부모들과 교사들, 마을 어르신들도 두런두런 사는 이야기를 나누며 익숙하지만 사실은 잘 알지 못하는 동네를 한 걸음 한 걸음 찬찬히 살피며 안전한 동네가 되도록 의견을 보태 주신다. 평소 위험하거나 관리가 필요한 장소는 남대전지구대 대원들께 일러 현장민원접수가 이뤄지기도 했다. 석교동 주민들은 그날 밤 동네 한 바퀴를 돌며 도로나 건물도 살피고 서로의 안부도 살피며 안전하고 살기 좋은 마을을 위한 활동을 함께 하였다 

인근에 사신 다는 김할머니께 참여 소감을 여쭈었더니 저녁 먹고 심심한 차에 운동도 되고 좋은 일도 하니 일석이조 아니냐며 웃으신다. 할머니는 이틀 전에 평생 처음으로 12일 친구들과 여행을 다녀 오셨다고 한다. 말 끝에 옆에 있던 친구분께서 처음 간 여행에서 식구들 밥걱정만 하셨다며 애정 어린 타박을 하신다. 김할머니께선 마을안전 활동이 건강과 좋은 일을 취하는 일석이조라 하셨지만 모락모락 생겨나는 이웃간의 정든 관계까지 더 하면 일석삼조의 활동이라 하겠다.

 

만만클럽 캠페인을 함께 한 대전 석교동, 옥계동, 관저동 주민들은 일련의 안전마을 활동을 통해 대전공유지도기획단의 도움을 받아 커뮤니티 맵핑을 완성하여 컴퓨터나 휴대전화기로 '대전공유지도'라고 검색하면 언제나, 누구나 필요할 때 마을안전지도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석교·옥계동, 그리고 관저동 안전마을 지도는 주민들이 발품 들여 직접 만든 것이다. 지리적 위치를 알려주고 위험상황에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외 이웃들의 삶의 이야기가 들어있는 지도이다. 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책임감과 참여를 통해 만들어지는 마을안전지도가 대전뿐 아니라 전국에 있는 모든 마을 곳곳에서 그 동네 특성과 필요를 반영하여 주민들 손에 의해 만들어지길 기대해 본다. 그것이 가능해지면 사람들이 느끼는 안전도와 행복지수는 지금 보다 훨씬 높을 것이다. 이웃사촌간 상호돌봄이 이루어지는 공동체성의 회복은 CPTED(범죄예방환경설계)에서 강조하는 자연감시성이 일상생활에서 유지되기 때문이다.

 

 

<출처 : 대전공유지도/ www.daejeonsharingmap.com>

 

 

폭력없는 사회,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만만클럽 회원님께

우리집과 우리동네 안전도를 체크할 수 있는 모니터링수첩을 드립니다.

만만클럽모금캠페인 기부신청 :02-336-6463 (만만클럽 담당자)

 

 

Posted by 한국여성재단
,